맨위로가기

프리메라 나시오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메라 나시오날은 아르헨티나의 프로 축구 리그로, 1986년에 창설되어 2020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FA)에 가입된 팀과 지역 협회 소속 팀들이 참여하며, 1부 리그인 프리메라 디비시온 다음으로 높은 수준의 리그이다. 2023 시즌에는 37개 팀이 참가하여 정규 시즌을 거쳐, 상위 팀들은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하거나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하위 팀은 하부 리그로 강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미국 여자 농구 협회 (1986년)
    1986년 창설된 미국 여자 농구 협회는 대학 연고지 기반 드래프트 방식을 통해 지역 팬덤을 구축하려 했으나, 재정적 어려움으로 해체되었다.
  • 남아메리카의 축구 2부 리그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는 브라질 축구 리그 시스템의 2부 리그로, 1971년 시작되어 잠시 중단 후 1980년 재개되었고, 2006년부터 20개 팀이 참가하는 풀 리그 방식으로 운영되며 상위 4팀은 세리이 A로 승격, 하위 4팀은 세리이 C로 강등된다.
  • 남아메리카의 축구 2부 리그 - 우루과이 세군다 디비시온
    우루과이 세군다 디비시온은 1903년에 시작되어 여러 명칭 변경을 거쳐 1983년부터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 중인 우루과이 축구 리그 시스템의 2부 리그로, 우승팀은 다음 시즌에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하며 개막 및 폐막 토너먼트로 진행되고 10개에서 14개 클럽이 참가한다.
  • 아르헨티나의 프로 스포츠 리그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891년에 시작되어 잉글랜드 풋볼 리그 다음으로 오래된 축구 리그이며,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FA)가 주관하고, 리버 플레이트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아르헨티나의 프로 스포츠 리그 -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는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시스템의 3부 리그로서 부에노스 아이레스 지역 클럽들이 주로 참가하며, 1899년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창설되어 1986년 3부 리그로 재편, 매 시즌 우승팀은 2부 리그로 승격하고 하위 두 팀은 4부 리그로 강등된다.
프리메라 나시오날
기본 정보
프리메라 나시오날 로고
로고
창립1986년
첫 시즌1986–87
연맹CONMEBOL
참가 팀 수38
승격프리메라 디비시온
강등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
토르네오 페데랄 A
리그 등급2부 리그
최근 우승 팀알도시비
최근 시즌2024
최다 우승 팀반필드
올림포 (각 3회)
최다 득점자아드리안 초르노마스 (160골)
공식 웹사이트https://www.afa.com.ar/es/pages/estadisticas-primera-b-nacional
방송
아르헨티나TyC 스포츠
DirecTV 스포츠
국제TNT 스포츠
TyC Max
스폰서

2. 역사

아르헨티나 축구에서는 AFA에 직접 가맹된 수도권 팀들과 지역협회별로 가맹된 지방팀들이 참여하는 리그가 달랐으나, 지역 협회에 가입된 팀들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참가할 수 있게 되면서 기존에 2부 리그의 역할을 하던 프리메라 B의 참가팀을 승계하여 1986년부터 전국 리그로 출범하게 되었다.

1985-86 시즌 이후, 프리메라 B 나시오날은 프리메라 디비시온 다음으로 아르헨티나 프로 축구에서 두 번째로 높은 리그가 되었으며, 토르네오 페데랄 A와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보다 상위에 위치하게 되었다.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는 AFA에 직접 소속된 팀들을 위한 3부 리그 역할을 시작했다.

2. 1. 리그 명칭 변천

1935년 아마추어 1부 리그와 통합1949년~1985년프리메라 디비시온 B (Primera División B)1986년~1996년나시오날 B (Nacional B)지역협회 가맹팀 참가 허용으로 전국 리그화
기존의 프리메라 B는 3부 리그로 전환1996년~2020년프리메라 B 나시오날 (Primera División B Nacional)2020년~프리메라 나시오날 (Primera Nacional)


3. 리그 방식

2023 시즌에는 37개 팀이 참가하여 한 번씩 경기를 치러 총 36라운드를 진행하였다. 1위 팀은 챔피언이 되어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된다. 2위부터 13위까지의 팀들은 정규 시즌 종료 후 두 번째 승격 자리를 놓고 "토르네오 레두시도"에서 경쟁하며, 2위 팀은 3라운드, 3위 팀은 2라운드, 4위부터 13위까지의 팀은 1라운드에 진출한다.

4. 승격과 강등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하는 팀은 해당 시즌 1, 2위 두 팀이며, 이들은 프리메라 디비시온 최하위 두 팀과 자리를 맞바꾸어 자동 승격된다. 2006/07 시즌까지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1차 승격팀과 2차 승격팀을 결정했으나, 2007/08 시즌부터 단일리그로 진행되면서 이 방식은 폐지되었다.

최근 3년간 성적을 종합하여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17, 18위 팀이 프리메라 B 나시오날의 3, 4위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프로모시온)를 치렀으나, 이 또한 2007/08 시즌부터 폐지되고 해당 시즌 성적 3, 4위 팀이 바로 프로모시온에 진출하게 되었다.

평균 성적 최하위 두 팀은 하위 리그로 바로 강등된다. AFA 가맹 클럽은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로, 지역협회 가맹 클럽은 아르헨티노 A로 강등되며, 이 두 자리는 하부 리그 우승 팀들로 채워진다.[1] 과거에는 하위 리그 상위 팀과 프리메라 B 나시오날 하위 팀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프로모시온)가 있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4. 1. 승격

해당 시즌 1, 2위 팀은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자동 승격하여 최하위 두 팀과 자리를 맞바꾼다. 2006/07 시즌까지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1차 승격팀(Primer ascenso)과 2차 승격팀(Segundo ascenso)을 결정했다. 1차 승격팀은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우승 팀 간의 경기로, 2차 승격전은 1차 승격전 패자와 최근 3년간 통합 승점 최상위 팀 간의 경기로 결정되었다.

2007/08 시즌부터는 단일리그로 진행되면서 시즌 1, 2위 팀이 직접 승격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최근 3년간 성적을 종합하여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17, 18위 팀이 프리메라 B 나시오날의 3, 4위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프로모시온)를 치렀으나, 2007/08 시즌부터는 프로모시온 진출팀을 결정하는 플레이오프가 폐지되고 해당 시즌 성적 3, 4위 팀이 바로 프로모시온에 진출했다.

시즌우승준우승3위
2007-08산 마르틴 (T)고도이 크루스우니온 (SF)
2008-09아틀레티코 투쿠만차카리타 주니어스아틀레티코 라파엘라
2009-10올림포킬메스아틀레티코 라파엘라
2010-11아틀레티코 라파엘라우니온 (SF)산 마르틴 (SJ)
2011-12리베르 플라테킬메스인스티투토
2012-13로사리오 센트랄히무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LP)올림포
2013-14반필드데펜사 이 후스티시아인데펜디엔테
2014(순위 결정전은 열리지 않음)
2015아틀레티코 투쿠만파트로나토페로 카릴 오에스테
2016타예레스 (C)차카리타 주니어스히무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J)
2016-17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차카리타 주니어스기예르모 브라운
2017-18알도시비알마그로산 마르틴 (T)
2018-19아르세날사르미엔토 (J)누에바 치카고
2020사르미엔토 (J)에스투디안테스 (RC)
2021티그레바라카스 센트랄



클럽우승 횟수준우승 횟수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반필드311992–93, 2000–01, 2013–141986–87
올림포32001–02, 2006–07, 2009–10
타예레스 (C)221997–98, 20161995–96, 1996–97
아틀레티코 투쿠만212008–09, 20151990–91
아틀레티코 데 라파엘라212002–03, 2010–111994–95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211996–97, 2016–172002–03
우라칸21989–90, 1999–00
인스티투토 (C)21998–99, 2003–04
킬메스181990–911987–88, 1989–90, 1993–94, 1999–00, 2000–01, 2001–02, 2009–10, 2011–12
아르세날112018–192001–02
힘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J)111993–942004–05
고도이 크루스112005–062007–08
라누스111991–921988–89
사르미엔토 (J)1120202018–19
알도시비12017–18
차코 포르 에베르11988–89
데포르티보 아르메니오11986–87
데포르티보 만디유11987–88
에스투디안테스 (LP)11994–95
우라칸 (C)11995–96
리베르 플라테12011–12
로사리오 센트랄12012–13
산 마르틴 (T)12007–08
티그레12021
티로 페데랄12004–05


4. 2. 강등

평균 성적 최하위 두 팀은 하위 리그로 바로 강등된다. AFA 가맹 클럽은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로, 지역협회 가맹 클럽은 아르헨티노 A로 강등된다. 이 두 자리는 하부 리그 우승 팀들로 채워진다.[1]

과거에는 하위 리그 상위 팀과 프리메라 B 나시오날 하위 팀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프로모시온)가 있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AFA 직접 가맹팀(수도권 팀) 중 직접 강등팀을 제외한 차상위 팀은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의 플레이오프(reducido) 승리팀과 프로모시온을 가졌었다. 마찬가지로 지역 협회 가맹팀 중 직접 강등팀을 제외한 차상위 팀은 아르헨티노 A의 플레이오프(reducido) 승리팀과 프로모시온을 가졌었다.[1]

5. 역대 우승 팀

다음은 프리메라 나시오날의 역대 우승 팀과 준우승 팀, 그리고 3위 팀을 정리한 표이다. 1986-87 시즌부터 현재까지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1년을 한 시즌으로 계산하는 방식과 전/후기 리그(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로 나누어 계산하는 방식을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시즌우승준우승3위
1986-87데포르티보 아르메니오반필드벨그라노
1987-88데포르티보 만디유산 마르틴 (T)차코 포르 에베르
1988-89차코 포르 에베르우니온 (SF)콜론
1989-90우라칸라누스킬메스
1990-91킬메스벨그라노반피엘드
1991-92라누스산 마르틴 (T)알미란테 브라운
1992-93반피엘드히나시아 이 티로센트랄 코르도바 (R)
1993-94히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J)타예레스 (C)인스티투토
1994-95에스투디안테스 (LP)콜론산 마르틴 (T)
1995-96우라칸 코리엔테스우니온 (SF)아틀레티코 투쿠만
1996-97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히나시아 이 티로타예레스 (C)
1997-98타예레스 (C)벨그라노알도시비
1998-99인스티투토차카리타 주니어스후벤투 안토니아나
1999-2000우라칸로스 안데스알마그로
2000-01반피엘드누에바 치카고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2001-02올림포아르세날 데 사란디우라칸 토레스 아로요스
2002-03아페르투라아틀레티코 라파엘라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킬메스
클라우수라아틀레티코 라파엘라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산 마르틴 (M)
2003-04아페르투라인스티투토벨그라노산 마르틴 (M)
클라우수라알마그로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우라칸 트레스 아로요스
2004-05아페르투라티로 페데랄우라칸누에바 치카고
클라우수라히무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J)CAI아틀레티코 라파엘라
2005-06아페르투라고도이 크루스알마그로차카리타 주니어스
클라우수라누에바 치카고벨그라노산 마르틴 (SJ)
2006-07아페르투라올림포플라텐세티그레
클라우수라올림포데펜사 이 후스티시아우라칸
2007-08산마르틴 투쿠만고도이크루스우니온 데 산타페
2008-09CA 투쿠만차카리타 주니어스아틀레티코 데 라파엘라
2009-10올림포킬메스올보이스
2010-11아틀레티코 데 라파엘라우니온 데 산타페산 마르틴 (SJ)
2011-12리버 플레이트킬메스인스티투토
2012-13로사리오 센트랄김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LP)올림포
2013-14반필드데펜사 이 후스티시아인데펜디엔테
2014colspan=3 style= background:#efefef|
2015아틀레티코 투쿠만파트로나토페로 카릴 오에스테
2016타예레스 (C)차카리타 주니어스김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J)
2016-17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차카리타 주니어스기예르모 브라운
2017-18알도시비알마그로산 마르틴 (T)
2018-19아르세날사르미엔토 (J)누에바 시카고
2019-20colspan=3 style= background:#efefef|
2020사르미엔토 (J)에스투디안테스 (RC)3위 없음
2021티그레바라카스 센트랄3위 없음
2022벨그라노인스티투토산 마르틴 (T)
2023인데펜디엔테 리바다비아알미란테 브라운3위 없음
2024알도시비산 마르틴 (T)3위 없음


6. 2016-17 시즌 참가팀

클럽도시
올 보이스플로레스타부에노스아이레스주
알마그로트레스 데 페브레로부에노스아이레스주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라 파테르날부에노스아이레스주
아틀레티코 파라나파라나엔트레 리오스주
보카 우니도스코리엔테스코리엔테스주
브라운아드로게부에노스아이레스주
센트랄 코르도바 (SdE)산티아고 델 에스테로산티아고 델 에스테로주
차카리타 주니어스비야 마이푸부에노스아이레스주
크루세로 델 노르테갈파미시오네스주
더글라스 하이그페르가미노부에노스아이레스주
페로 카릴 오에스테부에노스아이레스부에노스아이레스주
플란드리아호세 마리아 아우레기부에노스아이레스주
히무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J)산 살바도르 데 후후이후후이주
기예르모 브라운푸에르토 마드린추부주
인데펜디엔테 리바다비아멘도사멘도사주
인스티투토코르도바코르도바주
후벤투드 우니다과레과이추엔트레 리오스주
로스 안데스로마스 데 사모라부에노스아이레스주
누에바 시카고부에노스아이레스부에노스아이레스주
산타마리나탄딜부에노스아이레스주
산 마르틴산 미겔 데 투쿠만투쿠만주
스포르티보 에스투디안테스산 루이스산루이스주
비야 달미네캄파나부에노스아이레스주


참조

[1] 뉴스 Y se sacó el parche http://edant.ole.com[...] Olé 2007-01-28
[2] 뉴스 La AFA le cambió el nombre a la Primera B Nacional https://www.infobae.[...] Infobae 2019-07-10
[3] 뉴스 La Primera B Nacional renueva su formato https://www.diarioun[...] Diario Uno 2019-07-10
[4] 웹사이트 List of Argentine second division champions https://www.rsssf.or[...]
[5] 뉴스 La AFA le cambió el nombre a la Primera B Nacional https://www.infobae.[...] Infobae 2019-07-10
[6] 뉴스 La Primera B Nacional renueva su formato https://www.diarioun[...] Diario Uno 2019-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